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강아지6

5 Freedoms - 동물복지 5 Freedoms이란? 사람의 통제 하에 있는 동물(가축, 애완동물, 동물원 동물 등)의 복지에 대한 5가지 항목으로, 1965년 영국 정부에서 개발하였습니다. 당시 집약적 가축 생산 시스템에서 모든 가축은 서거나, 눕거나, 돌거나, 사지를 뻗을 수 있거나, 스스로의 몸을 다듬을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 집중을 했습니다. 이 후 1979년 영국의 농장 동물 복지 위원회(Farm Animal Welfare Council)에서는 이 개념에 정신적, 신체적 요구사항 - 두려움과 스트레스를 피하고 정상적이고 자연스러운 행동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항목을 포함하여 5 Freedoms로 확장했습니다. 이 5 Freedoms는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고 있으며 한국의 동물보호법에서도 참조되고 있습니다. 동물보호법 제3조.. 2020. 11. 16.
호주의 애견 관련 법 - Dog Act 호주의 Dog Act 는 개의 통제 및 등록에 관련하여 개 주인의 의무와 권리를 규정한 법입니다. "As a nation of pet lovers, we rely on dog owners to responsibly look after their dogs to ensure that we can all live together peacefully and without fear." - Laws for Responsible Dog Owners The Dog Act 1976, WA 애완동물 애호국으로써, 우리는 개 주인의 책임감있는 행동을 통해 모두가 두려움 없이 평화롭게 살 수있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2019년 기준으로 약 61%의 호주 가정에서 애완동물을 키우고 있고, 개를 키우는 가정은 전체 가구의 40%,.. 2020. 11. 15.
반려 미용은 왜 해야 할까? - 개의 역사 반려견 미용은 왜 해야 할까요? "사람에게 예쁘게 보이려고 너무 강아지를 괴롭히는거 아니냐?"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서는 강아지들이 지금의 모습을 가지게 된 역사와 개와 사람과의 관계발전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가 알아야 할 것 중 하나는 개가 사람과 함께 지내게 된 이후로 개는 야생의 모습과 다른 모습으로 변화해 왔다는 것입니다. 개와 사람과의 관계 발전 개가 사람과 함께 지내기 시작하면서 사람의 주거지 근처에서 음식물 찌꺼기를 얻어먹으면서 살았습니다. 그 시기의 개들은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을 만큼 너무 작지 않으면서 또 생존을 위해 너무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도록 적절한 크기를 유지했습니다. 털 또한 따뜻한 기간엔 자연스럽게 바닥에 뒹굴거나 나무둥치 같은 것에 긁어서 털갈이를 했고,.. 2020. 8. 17.
동물을 나타내는 형용사 영어단어들 (-INE) 글을 읽다 보면 -ine으로 끝나는 단어들을 가끔 보게 됩니다. 예를 들면 Canine(개)이 있는데, 익숙하지도 않고 원래 알고 있던 단어와 연상도 되지 않아서 (영어의 어휘는 정말 너무너무 많아서 너무함)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한번 알아보았습니다. 특징 이 단어들은 거의 ine으로 끝나는데, 보통[-aɪn]으로 발음되곤 합니다. (Canine -> 'K9'으로 기억하면 편함) 이 단어들은 얼굴 등 신체적인 특징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되곤 하며, 사람과 동물에게 모두 사용됩니다. 또한 학술적, 의학용 단어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알아두면 쫌 배운사람 같아 보일 수 있을 것 같은 느낌 사용 예 "He was a plump little guy with thinning gray hair over a pink sc.. 2020. 7. 27.
반응형